데이터 유출 방지
데이터 유출 방지(Data Loss Prevention)은 내부정보 유출방지, 정보유출방지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보통 DLP로 축약하여 표시된다. 데이터 유출 방지 소프트웨어는 메신저, 웹메일, 웹하드, 프린터, USB등 다양한 경로로 정보가 흘러나가는 것을 기록/통제하는 기술이다. 사전통제 뿐만 아니라 유출사고 발생 후 기록을 토대로 유출자, 유출경로 등을 추적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데이터 유출은 해커의 해킹행위로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내부자에 의한 데이터 유출이 81.4%에 이른다. 데이터 유출 방지 기능은 내부자에 의한 정보유출 행위와 해커 및 권한 없는 외부인의 PC 불법 접근 후 데이터를 유출하는 행위를 차단, 통제, 기록한다.
- 엔드포인트 위협탐지 및 대응
-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줄여서 EDR) 또는 엔드포인트 위협 탐지 및 대응(Endpoint Threat Detection and Response, 줄여서 ETDR)은 컴퓨터와 모바일, 서버 등 단말(Endpoint)에서
- 엔드포인트 DLP
- 엔드포인트 DLP(Enpoint Data Loss Prevention)는 보안기술의 일종으로, 내부 정보 유출 방지를 의미한다. 보통 DLP로 축약하여 부르며 PC, 태블릿, 모바일, 서버 등을 비롯한 단말(endpoint)에서 기밀정보나
- 소만사
- 좀비 컴퓨터
- 좀비 컴퓨터(좀비 PC, 영어: zombie computer)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컴퓨터를 뜻한다. C&C 서버의 제어를 받아 주로 DDoS공격등에
- 서비스 거부 공격
- 서비스 거부 공격(-拒否 攻擊, 영어: denial-of-service attack, DoS attack) 또는 디오에스 공격/도스 공격(DoS attack)은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 해당 시스템의 리소스를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 전송 계층 보안
- 전송 계층 보안(영어: Transport Layer Security, TLS, 과거 명칭: 보안 소켓 레이어/Secure Sockets Layer, SSL)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통신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암호 규약이다. 그리고 '트랜스포트
- 정보 보안
- 정보 보안(情報保安, 영어: information security 또는 infosec, 정보 보호)은 정보를 여러 가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뜻한다
- 충방그룹
-
충남방적그룹(忠紡─)은 1954년에 설립된 섬유류 제조업체인 충남방적(주)을 모기업으로 하는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1970년대부터 1990년대 말까지 대한민국 최대 면방그룹이었다. 창업주는 청운
- 메타이론
-
메타이론(metatheory)은 이론을 대상으로 하는 이론이다. 모든 연구분야의 이론들은 메타이론을 공유한다. 공유되는 메타이론이 명확하거나 정확한지는 상관없다. 좀 더 제한되고 구체적인 의미로는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