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투 칸

바투(ᠪᠠᠲᠣ, Бат 또는 Баты́й, Бату́, 1205년 8월 18일 혹은 8월 7일 ~ 1255년)는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의 칸(재위:1227년~1255년)으로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주치 칸의 차남이다. 주치 칸의 아들들 중에 훌륭한 칸이라는 별명의 그는 아버지 속령에 대한 통치권을 계승하였다. 한자 식으로는 발도(抜都), 파독(巴禿), 팔도한(八都罕) 등으로 표기된다. 별칭은 사인 칸(撒因汗 Сайн хаан)으로, 몽골어로 자비롭고 선한 칸, 현명한 칸이라는 뜻이다. 1236년~1241년의 몽골군 제2차 유럽 원정을 최종 지휘했다. 페르시아어로는 바토(باتو)이다.
주치 칸
보르지긴 주치(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ᠵᠥᠴᠢ, Зүчи, Cuçi, Джучи, جوچى, 카자흐어:Joşı, Жошы, 한국 한자: 孛兒只斤 朮赤 패아지근 출적, 1182년? ~ 1227년 2월) 또는 슈치는 몽골 제국 초기의
차가타이 칸
보르지긴 차가타이(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ᠴᠠᠭᠠᠲᠠᠢ, Цагадай хан, 1183년 12월 22일 ~ 1242년 7월 1일)는 몽골 제국의 칸이자 장군으로, 차가타이 한국의 설립자이며 실질적인
복드 칸
복드 칸(몽골어: ᠪᠣᠭᠳᠠᠬᠠᠭᠠᠨ Boɡda haɡan, 1869년 10월 13일~1924년 5월 20일)은 복드 칸국의 불교 승려이자 몽골계 국가 불교도 군주였던 정치인이다. 제8대 제쮠담바 후툭투이며, 속세의
소르칵타니 베키
소르칵타니 베키 카툰(몽골어: ᠰᠣᠷᠬᠠᠭᠲᠠᠨᠢᠪᠡᠬᠢᠬᠠᠲᠤᠨ Sorqoqtani Beki Khatun, Сорхагтани Бэхи Хатан, 페르시아어: سرقویتی بیگی Sūrqaqtanī Bīkī,, 한국 한자: 唆魯合貼尼妃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미시 카툰(몽골어: ᠤᠤᠭᠠᠯᠬᠠᠶᠢᠮᠢᠰᠢᠬᠠᠲᠤᠨ Oγul Qaimiš Khatun, 키릴 문자:Огул Каймиш, Огул-Гаймыш, 한국 한자: 斡兀立 海迷失 可敦 알올립 해미실 가돈: ? - 1252년
이수데르 조리그투 칸
조리그투 칸(卓里克圖汗, ᠵᠣᠷᠢᠭᠲᠤ ᠬᠠᠭᠠᠨ, 키릴 문자:Зоригт хаан, 1358년 ~ 1392년)은 대몽골 울루스(몽골 제국) 붕괴 이후의 북원의 대칸(재위:1388년 ~ 1392년)이다. 휘는 보르지긴
원 태정제
원 태정제(元 泰定帝, 1293년 11월 28일 혹은 1276년 11월 26일 ~ 1328년 8월 15일 )는 대원의 제6대 황제이자 몽골 제국 제10대 카안(재위: 1323년 10월 4일 ~ 1328년 8월 15일)이다. 시호는 흠인대효황제(欽仁大孝皇帝
토구스테무르 우스칼 칸
원 평황제 토구스테무르(元 平皇帝 脫古思帖木兒, ᠲᠥᠭᠥᠰᠲᠥᠮᠥᠷᠤᠰᠠᠬᠠᠯᠬᠠᠭᠠᠨ, Төгстөмөр усхал хаан, 1342년 혹은 1349년 3월 7일 ~ 1388년 11월 1일 )는 북원의 제3대 황제
콩타이지
콩타이지 또는 콩 타이지(몽골어: ᠬᠤᠩᠲᠠᠶᠢᠵᠢ Qong Tayiji, 현대 몽골어: хунтайж, 한국 한자: 皇太子 황태자 한국 한자: 渾台吉 혼태길 한국 한자: 渾太吉 혼태길) 또는 쿵타이지는 몽골귀족
오딜존 함로베코프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