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분법
변분법(變分法, 영어: calculus of variations)이란 미적분학의 한 분야로, 일반 미적분학과는 달리 범함수를 다룬다. 이런 미적분학은 알려지지 않은 함수와 이 함수의 도함수를 다루는데, 주로, 어떠한 값을 최대화 하거나, 최소화하는 함수 모양이 어떻게 되는가를 다룬다.
- 기묘도
- 기묘도(奇妙度, 영어: strangeness)는 입자물리학에서 강입자에 든 기묘 쿼크의 수다. 입자의 맛깔 양자수 가운데 하나다. 기호는 영명의 머릿글자인 영문자 S다.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델 (연산자)
- 델 연산자는 벡터 미적분학에서 많이 쓰이는 연산자로써 나블라 기호로 표현하며 함수의 발산이나 회전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어떤 함수 를 미분할 때 미분을 하나의 과정으로 볼 수 있지만
- 앙상블 해석
- 앙상블 해석(영어: Ensemble interpretation)은 양자역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 중 하나이다. 이 해석은 같은 물체가 많이 있다고 가정하여 개별적으로 해석할 수 없고 통계학적으로 해석한다
- 슈뢰딩거 묘사
- 슈뢰딩거 묘사(Schrödinger picture)란 연산자는 시간과 무관하지만 상태 벡터를 시간의존적으로 놓는 양자역학의 수식화이다. 상태 벡터를 시간과 무관하게 놓고 연산자를 시간의존적으로 다루는
- 스칼라장
- 수학과 물리학에서, 스칼라장(scalar field)은 (국소) 유클리드 공간의 각 점에 스칼라를 대응시킨 것이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상의 온도 분포나 호수의 수압 분포 또는 공간상의 전위 분포나 위치
- 뢰머의 빛의 속력 측정
- 1676년 올레 뢰머는 첫 번째로 빛의 속력을 정성적인 측정값으로 구했다. 뢰머는 덴마크 천문학자로서 천문학적 방법을 사용해서 빛의 속력을 측정하였다. 그는 목성의 위성 중 ‘이오’가 식
- 벨 부등식 실험
- 벨 부등식 실험(영어: Bell's inequality experiment)은 양자얽힘 현상에 관한 벨의 부등식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존 벨은 자신의 논문 "EPR 역설에 관하여"에서 이 부등식을 발표하였다. 벨의
- 질량 간극
- 양자역학에서 질량 간극(質量間隙, mass gap)은 바닥 상태의 에너지와 가장 낮은 들뜬 상태의 에너지의 차이다
- 등주부등식
- 등주부등식(等周不等式, Isoperimetric inequality)은 폐곡선의 둘레와 그 폐곡선이 둘러싸는 영역의 넓이뿐만 아니라 그것의 다양한 일반화에 대한 기하학적 부등식을 의미한다. 길이가 L이고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