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루샤스키어
부루샤스키어(Burshaski)는 파키스탄의 길기트발티스탄 북부의 훈자, 나가르, 야신 계곡에 거주하는 부루쇼인들이 사용하는 고립된 언어이다. 이외에 길기트 구 북부나 인도령 카슈미르 북부에도 소수 화자가 분포해 있으며, 화자수는 2016년 기준 약 11만 2천 명이다.
- 숌펜어
- 숌펜어(Shompen, Shom Peng)는 인도양 미얀마 남쪽 해상에 있는 인도령 니코바르 제도의 남부에 위치한 대니코바르섬(Great Nicobar Island)의 원주민인 숌펜족이 쓰는 언어이다
- 요나구니어
- 요나구니어는 일본 최서단인 요나구니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류큐어파의 언어 중에서도 야에야마어와 가장 가까우나 양자간에도 차이가 현저하다. 현재 화자는 대부분 노년층으로, 섬의
- 사쿠라이 마코토
- 사쿠라이 마코토(일본어: 桜井 誠, 1972년 2월 15일~) 또는 본명 다카타 마코토(일본어: 高田 誠)는 일본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야하타니시구 출신의 일본의 극우 성향의 활동가, 현 일본제일당
- 네와르어
- 네와르어(Newar)는 네팔의 네와르족이 사용하는 중국티베트계 언어이다. 흔히 '네팔의 언어'라는 뜻의 네팔 바사(Nepal Bhasa)라고도 불리는데, 네팔어와는 언어접촉에 의해 일부 닮은 점이 있을 뿐
- 테우엘체어
- 테우엘체어는 파타고니아에 사는 테우엘체족이 쓰는 말이다. 현재 별도의 민족으로는 200명 정도만이 남아 있다. 이들은 원래 파타고니아의 수렵채집민들로, 테우엘체어를 스스로 일컫는 이름은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Indigenous Australians)은 유럽인의 이주 이전부터 오스트레일리아와 주변 섬에 살았던 원주민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의 애버리지니(Aborigine)을 비롯하여 행정구역 상
- 코르시카어
- 코르시카어(코르시카어: Corsu)는 프랑스령 지중해 섬인 코르시카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 계열의 언어이다. 사르데냐 섬의 북부에서도 사사리어와 갈루라어라는 코르시카어와 방언연속체를 이루는
- 케추아어족
- 케추아어(Quechua, 케추아어: Runa Simi)는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지대의 토착민인 케추아족이 사용하는 언어 또는 어군이다. 잉카 제국이 제국의 공용어로 채택한 이래 오랫동안 중앙 안데스 지방을
- 자라와족
- 자라와족(Jarawa, Järawa, Jarwa)은 안다만 제도 남안다만섬에 사는 토착민족의 하나이다. 현재 인구는 250-350명으로 추산된다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