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몬 스테빈
시몬 스테빈(네덜란드어: Simon Stevin, 1548년 / 1549년 ~ 1620년)은 네덜란드 플랑드르의 수학자이자 기술자이다. 그는 많은 과학 및 기술분야에서 이론분야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왕성히 활동하였다. 또한 많은 수학용어를 네덜란드 고유어(게르만계)로 번역하는 데 힘을 기울여 네덜란드어는 유럽어 중 드물게 라틴어, 그리스어에 의지하지 않은 다수의 수학용어를 보유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수학(mathematics)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는 wiskunde이며 이는 <어떤 것이 확실한가에 대한 기술>이라는 뜻이다.
- 무티 (전통의학)
- 무티(Muti)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전통 민간 의술이다. 나무를 뜻하는 줄루어 -thi가 어원이며 아프리카 전통의학에서 나무에서 나오는 여러 재료들을 썼기 때문에 이것이 전통의술을 뜻하는 말로
- 탈어원화
-
탈어원화(러시아어: Деэтимологизация)란 특정한 낱말이 본래 지니고 있던 의미와의 연관관계를 상실하고 새로운 의미로 탈바꿈하는 현상을 말한다. 어원상실이라고도 한다
- 쥬쿠지쿤
- 주쿠지쿤(일본어: 熟字訓, じゅくじくん) 또는 숙자훈은 일본어 특유의 한자 사용법으로 두 글자 이상의 한자숙어를 그 음으로 읽지 않고, 그 풀이에 해당하는 일본어 새김(뜻)으로 읽는 방법을
- 피바다 학생 전문공작소
-
피바다 학생 전문공작소는 1990년대에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웹사이트이다. 웹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인 조경규와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바다 이 두 사람에 의해 꾸려진 사이트이다. 이들은 1992년
- 시노비모지
-
시노비모지(일본어: 忍び文字)는 일본의 닌자가 서신의 보안을 위해 사용했던 암호의 일종이다. 한자의 요소를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사용법은 닌자의 각 유파나 지역에 따라 각각 차이가
- 유대-말라얄람어
- 유대-말라얄람어(Judeo-Malayalam)는 유대 제어의 일종으로 인도 남부 케랄라 주에 사는 코친 유대인이 쓰는 말이다. 현재 이스라엘에는 약 8000명, 인도에는 100명이 채 못되는 사람이 쓰고 있는 것으로
- 한자표기어
-
한자표기어(漢字表記語)란 단어를 분류하는 방식의 하나로, 한자로 표기가능한 모든 단어를 일컫는다. 한자표기어란 개념은 그 단어가 어원적으로 한자어인가 아닌가와는 별도로 일정하게 고정된
- 에티오피아 이름
-
에티오피아 이름은 하베샤라고도 하며, 에티오피아및 에리트레아에서 쓰인다. 에티오피아 이름의 얼개는 아랍 이름과 비슷하여 유럽에서 쓰이는 성 대신 부계 혈족의 계통을 나타내는 족명을
- 묘진
- 묘진(일본어: 明神)은 일본 신토에서 신을 부르는 호칭의 하나이다.
무로마치 시대 교토 요시다 신사의 신관인 요시다 가네토모(吉田兼倶)가 일으킨 신토 일파인 요시다 신토에서 신호(神號)로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