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전 사업
양전(量田)은 한국사에서 고려와 조선 시대에 조세 수입원의 정확한 집계를 위하여 20년마다 실시한 토지 조사 사업 및 제도이다. 양전 사업이라고도 부른다. 국가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일종의 토지조사 사업이다.
- 도평의사사
-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는 고려 말 충렬왕이 도병마사를 개칭한 관청으로, 국정을 총괄하는 기구였다
- 공해전
- 공해전(公廨田) 또는 공해전시과(公廨田柴科)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시행된 토지제도인 공해전시 제도에 따라 국가기관 내지 왕실·궁원(宮院)의 경비를 충당키 위하여 설정한 토지이다
- 군전
- 군전(軍田)은 고려 말 1391년(공양왕 3년)부터 군인을 양성하기 위해 한량 관리에게 분급하던 토지 및 그 제도이다
- 백리척
- 백리척(百里尺)은 한국의 옛 지도에서 쓰이던 척관법에 따른 축척 표기법이다
- 국가비전 2030
- 국가비전 2030은 참여정부 시절 성장과 복지의 동반성장을 위해 제시된 비전이다. 흔히 비전2030이라 부른다. 당시 보고서 내용은 1100조 원의 재원을 마련할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공허한 청사진
- 법의무
- 법의무(法義務)는 법규범에 의하여 과해지는 구속이다
- 괘서사건
- 괘서 사건(掛書事件)은 조선 중기 이후 삼정의 문란과 세도 정치에 시달린 일반 민중들이 인생의 길·흉·화·복이나 왕조의 운명·성쇠를 예언하는 비기(秘記) 및 참설(讖設) 등을 믿고 괘서·방서
- 일반 법학
- 일반 법학(一般法學)은 역사 법학으로부터 비롯하였고, 개념 법학과 이익 법학에 의해 더욱 진전된 자연법 극복의 기도를 일층 철저하게 하려는 것이다. 일반 법학은 법을 실정법(實定法)에만
- 왕삼석
- 왕삼석(王三錫)은 고려 충숙왕 때의 간신이다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