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코 문자

응코 문자(N'ko, ߒߞߏ) 1949년 기니의 솔로마나 칸테(Solomana Kante, 1922-1987)에 의해 발명된 문자의 이름이다. 동시에 응코라는 이름은 이 문자로 쓰인 서아프리카의 공용문어를 가리키기도 한다. 응코란 만데계 제어에서 "나는 말한다"를 뜻한다.
오스마냐 문자
오스마냐 문자는 술탄 호뵤의 형제인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1920년~1922년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이다. 개인에 의해 만들어진 문자이자, 20세기들어 만들어진 문자로는
만돔베 문자
만돔베 문자(Mandombe)는 1978년 콩고민주공화국의 와벨라디오 파이(Wabeladio Payi)가 만든 종교문자이다. 앙골라, 콩고민주공화국, 콩고 등지에서 킴방구주의 교회가 꾸리는 초중고 학교에서 쓰인다
관체어
관체어(스페인어: Lenguas guanches)는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의 토착민인 관체인이 쓰던 말이다. 16~17세기 무렵까지 쓰이다가 그 이후에 사멸한 것으로 추정한다. 현재 남아 있는 관체어 자료는 초기
만시어
만시어(мāньси лāтыӈ)는 우랄어족의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한티만시 자치구와 스베르들롭스크주를 포함한 오비 강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만시인들이 사용한다
타나 문자
타나 문자(Thaana, Taana 또는 Tāna; 타나 문자로 ތާނަ‏)는 몰디브의 공용어인 디베히어를 표기하는 문자이다
이베리아어
이베리아어는 고대 이베리아반도에서 쓰였던 말이다.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기록에 따라 이베리아 남부와 동남부 지역에서 쓰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기원후 1세기 무렵 이 지역을 정복했던
엘바산 문자
엘바산 문자(Elbasan)는 18세기에 알바니아어의 표기에 쓰였던 문자이다. 엘바산이란 이름은 이 문자가 발명되어 사용된 도시이름인 엘바산에서 유래되었다. 베이타 크크쥬 문자와는 달리 정확한
노른어
노른어(Norn)는 스코틀랜드 북부의 셰틀랜드 제도와 오크니 제도에서 쓰이던 노르드어 계통의 언어로, 현재는 사멸한 상태이다.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게르만어군에 속한다. 15세기 무렵
언어변이형
언어변이형(言語變異形|variety of language)이란 방언의 개념을 일반화하여 확장시킨 것으로, 동일한 언어내부에서 특정집단 또는 개인에 의해 사용되는 언어의 여러 변이체들을 일컫는다. 주요한
오딜존 함로베코프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