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다. 본관은 우계(羽溪), 자(字)는 윤보(潤甫)·휴징(休徵), 호(號)는 송곡(松谷)·송파(松坡)·구계(癯溪)·계옹(溪翁)이다. 1660년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은 공조참판(工曹參判),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에 이르렀으며, 예송 논쟁 당시 남인(南人)의 논객 중의 한사람이다.
이여빈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 자(字)는 덕훈(德薰), 호는 취사(炊沙), 감곡(鑑谷), 감계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음력 8월 28일~1597년 9월 26일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무과 급제후 선전관에 초임된 뒤 절충장군
이경여 (1591년)
이경여(李慶餘, 1591년/1579년 - 1636년 7월 14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군인이다. 본관은 우계(羽溪)이고 자(字)는 대유(大有)이다. 전라도병마절도사 이복남의 아들이고,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이상호 (1702년)
이상호(李尙虎, 1702년 4월 23일 - 1801년 12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병석에 누운 할아버지를 소생시켰고,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영조와 정조의 국상때 3년상을 마쳤고
이태망
이태망(李台望, 1653년 9월 9일 ~ 1728년 9월 7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으로 병마절도사 충장공 이복남(李福男)의 증손이다. 본관은 우계(羽溪)이고 자(字)는 현경(鉉卿),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이평 (1572년)
이평(李坪, 1572년 8월 17일 - 161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다. 자(字)는 여원(汝遠)이고 본관은 우계(羽溪), 도촌 이수형(李秀亨)의 4대손이다. 경상북도 영천 출신이며 이잠(李埁)의 형이다
이인남
이인남(李仁男, 1559년 - 1592년 음력 4월 28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우계(羽溪), 자(字)는 원보(元甫)이다
이일관
이일관(李日觀, 1640년? / 1650년? ~ 1705년 6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자 군인이다. 자(字)는 백승(伯昇)이고 호는 미상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1680년(숙종 6) 무겸선전관으로 재직 중
이감 (조선)
이감(李戡, 1516년 10월 27일 ~ 1583년 음력 윤달 2월 19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우계(羽溪)이고 자(字)는 언신(彦信) 또는 언신(彦愼), 초명은 언소(彦昭)이고
오딜존 함로베코프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