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섬
체크섬(checksum)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전자 통신)이나 시간(기억 장치)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 메모리 주소
- 컴퓨터 과학에서 메모리 주소(memory address)는 메모리 위치에 대한 식별자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장치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이를 가져오는 장소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이진 형태의
- UART
-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병렬 데이터의 형태를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일종이다. UART는 일반적으로 EIA RS-232, RS
- 직렬 통신
- 전기 통신과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직렬 통신(Serial Bus, 시리얼 버스)은 연속적으로 통신 채널이나 컴퓨터 버스를 거쳐 한 번에 하나의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용어는
- 타이머
- 타이머(영어: timer)는 특별한 종류의 시계로, 일련의 사건이나 프로세스를 제어하거나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주로 특정 목적의 사건이 진행될 때, 진행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을
- 명령 주기
- 명령 주기(命令週期, 영어: instruction cycle, machine cycle)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가 메모리로부터 프로그램 된 한개의 기계어 명령어를 가져와 어떠한 동작을 요구하는지를 결정하고 명령어가
- 헤더 파일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특히 C와 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헤더 파일(header file) 또는 인클루드 파일(include file)은 컴파일러에 의해 다른 소스 파일에 자동으로 포함된 소스 코드의 파일이다. 일반적으로
- 디지털 신호 처리
-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보 신호를 수정하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알고리즘에 의해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보통 아날로그
- 명령어 집합
- 명령어 집합(영어: instruction set) 또는 명령어 집합 구조(영어: Instruction set architecture, ISA)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해서 기능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계어 명령어를 말한다
- 클럭 신호
- 클럭 신호(영어: clock signal)는 논리상태 H(high,논리 1)와 L(low,논리 0)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방형파(square wave) 신호를 말한다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