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적

초적(草笛)은 나뭇잎을 입술에 대고 입김을 불어 연주하는 악기로 초금(草琴), 혹은 풀피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통사회에서 서민들은 생활주변의 나무나 풀 등 자연물을 꺾어 쉽게 악기로 만들어 연주했으며, 버드나무껍질을 이용하여 대롱을 만들고 서를 만들어 부는 악기를 ‘호돌기’라고 불렀다. 나뭇잎을 꺾어서 부는 풀피리와 보릿대로 만든 보리피리 등이 있다.
아미타여래도
아미타여래도(阿彌陀如來圖)는 서방 극락정토에 있으면서 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왕생의 길로 이끌어주는 불교의 부처 중 한명인 아미타여래를 주로 그린 불화를 말한다
서울 지장사 감로도
지장사 감로도(地藏寺 甘露圖)는 조상숭배신앙 또는 영혼숭배신앙을 바탕으로 제작된 불화로, 죽은 사람의 극락왕생을 위한 신앙내용을 도설하고 있는 그림이다. 영가(靈駕)의 천도(遷度)를
서울 지장사 현왕도
서울 지장사 현왕도(서울 地藏寺 現王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지장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현왕도이다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서울 地藏寺 地藏十王圖)는 중생의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과 명부(冥府)에서 중생들의 죄질을 심판하는 시왕들 그리고 그 권속들을 도설하고 있는 불화이다
서울 지장사 괘불도
서울 지장사 괘불도(서울 地藏寺 掛佛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지장사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불화이다. 1999년 5월 19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다
서울 지장사 극락구품도
서울 지장사 극락구품도(서울 地藏寺 極樂九品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호국지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1999년 5월 19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서울 지장사 아미타불도
서울 지장사 아미타불도(서울 地藏寺 阿彌陀佛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호국지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아미타불도이다. 1999년 5월 19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되었다
서울 지장사 팔상도
서울 지장사 팔상도(서울 地藏寺 八相圖)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지장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팔상도이다. 1999년 5월 19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20호로 지정되었다
삼해주
삼해주(三亥酒)란 찹쌀을 발효시켜 두 번 덧술하여 빚는 약주(藥酒)를 말한다. 정월 첫 해일(亥日, 돼지날)에 시작하여 매월 해일마다 세 번에 걸쳐 빚는다고 해서 삼해주라고 하며, 정월 첫
XZ Utils
XZ Utils 는 lzma 및 xz 프로그램을 포함해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버전 5.0 이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자유 소프트웨어 명령줄 비손실 압축 소프트웨어 모음이다. 압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