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희소성

탈희소성(脫稀少性, Post-scarcity) 사회는 인간의 노동력이 최소한으로 들게끔 생산력이 발달하자, 상품의 양이 너무 많아져 그 가격이 매우 싸지거나 아예 공짜가 되는 경제 이론적 상황을 뜻한다. 탈희소성 사회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희소성이 완전히 제거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사람들이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과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충족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하지만 관련 연구자들은 탈희소성 사회에 이르렀다 할지라도 몇 가지의 상품은 여전히 희소한 상태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한다.
디지털 마오이즘
디지털 마오이즘(Digital Maoism)은 새로운 온라인 집단주의를 중국의 문화대혁명 시절 마오이즘에 빗댄 용어다. 미국의 미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인 재런 러니어가 2006년 처음 온라인 저널
지속적인 부분적 주의력
지속적인 부분적 주의력(영어:Continuous partial attention)은 정보 사회와 주의력 경제가 보편화되면서 나타난 현대인의 인지 상태로 끊임없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정보를
시스템 다이내믹스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SD)는 저량(stocks), 유량(flows), 시간 지연 등의 정보가 만드는 피드백을 시각화하여 복잡한 시스템의 비선형적인 역학을 이해하는 접근법이다
도넛경제학
도넛경제학(영어:Doughnut economics)은 영국의 경제학자 케이트 레이워스가 창안한 21세기경제학 이론이다. 여기서 말하는 도넛은 인간의 사회적 기초가 충족되면서 지구의 생태적 한계를 넘어가지
브라이트바트 뉴스
브라이트바트 뉴스(영어:Breitbart News, Breitbart 또는 Breitbart.com)는 2007년 앤드류 브라이트바트(Andrew Breitbart)가 설립한 미국의 극우 성향의 인터넷 언론사다. 앤드류 브라이트바트는 이 사이트를 허핑턴
주의력 경제
주의력 경제(영어:Attention economics, 또는 '관심경제', '주목경제')는 인간의 주의력을 희소한 상품이자 자원으로 보고 다양한 정보 관리 문제와 경제 현상을 설명하려는 경제학 이론이자 접근법이다
퍼스트 먼데이
퍼스트 먼데이(First Monday)는 인터넷 연구를 주제로 오픈 액세스의 월간 학술지이다. 학술지 게재는 동료 평가 이후에 이뤄진다
시스템 사고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는 세상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 관계의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세상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방법이다. 시스템 이론과 시스템 과학 등을 이론적인
조지프 히스
조지프 히스(Joseph Heath, 1967년 ~ )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철학 교수이자 철학자다. 행위 이론, 기업 윤리, 비판 이론, 정치철학 등의 분야를 주로 연구하며, 《혁명을 팝니다》,《계몽주의 2.0
오딜존 함로베코프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