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형

표현형(表現型, phenotype) 또는 발현형질(發現形質)은 생명학에서, 생명체가 유전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세포, 조직 및 개체에 단백질과 당을 통해 생산한 기능적 형질을 말한다. 유전자형과 비교되는 말이다.
집단유전체학
집단유전체학(集團遺傳體學, 영어: population genomics)은 유전체 정보를 이용하여 유전형질이 집단에서 어떠한 발현형질을 나타내고, 질병등과 연관성이 어떻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체학(오믹스
발형체
발형체(Phenome)는 발현형질의 총체를 말한다. 발현형질은 유전자로부터 유래되는 특징들을 말한다. 형태, 발달, 행동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유전형질(genotype)과 비교되는 말이다
발현체학
발현체학은 생물학에서의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RNA와 단백질등과 같은 생명객체들의 발현을 조사하고 그 양을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여, 세포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것은 DNA 칩
독성유전체학
독성유전체학(毒性遺傳體學, 영어: toxicogenomics)은 세포내의 단백질이 독성이 있는 화학물을 투여했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대량으로 연구하는 오믹스(체학)의 하나이다. 주로 DNA칩 같은
개인 유전체
개인 유전체는 한 개인의 총 유전자 정보를 말한다. 각 사람은 30억 쌍의 염기 서열 정보뿐 아니라 약 천만개 정도의 특이한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개인유전체는 한 인간을 결정짓는
생리체학
생리체학은 생리학을 대량의 실험정보를 생산하여 연구하는 오믹스학문중의 하나이다. 유전체학, 단백체학, 상호작용체학등과 같이 최근에 생명과학에서 사용되는 신조이이다. 기존의
기능 유전체학
기능유전체학은 1990년대 말에 생긴 생명과학 용어로서, 처음에는 DNA칩 데이터를 분석하는 생정보학의 소분야를 뜻했다. 많은 올리고칩이나 마이크로어레이(cDNA기반) 데이터가 나오자 이를
통단백체학
통단백체학 는 특정환경내의 모든 생물체의 단백질의 총체인 통단백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통유전체학과 대비되는 말로서, 종의 경계를 뛰어넘어서 생산되는 모든 단백질을 동정하고 양을
다중체
다중체영어: Multiome은 생명과학에서 정보처리의 가장 핵심인 게놈(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외유전체등의 체들의 복수 조합을 말한다. 한 세포나 개체의 게놈과 전사체는 하나의 다중체이다
오딜존 함로베코프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