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수와 짝수
수론에서 짝수(-數, 영어: even number)는 2로 나누어 떨어지는 정수이다. 홀수(-數, 영어: odd number)는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정수이다. 즉, 짝수는 2, 4, 6, 8, 10, ...과 같이 둘씩 세었을 때 남는 수가 없으며, 홀수는 1, 3, 5, 7, 9, ...와 같이 둘씩 세었을 때 1이 남는다,
- 에르미트 행렬
- 수학에서 에르미트 행렬(Hermite行列, Hermitian matrix) 또는 자기 수반 행렬(自己隨伴行列, self-adjoint matrix)은 자기 자신과 켤레 전치가 같은 복소수 정사각 행렬이다. 실수 대칭 행렬의 일반화이다
- 계산 가능한 수
- 계산 가능한 수(computable number) 또는 재귀적 수(recursive number), 계산 가능한 실수는 수학, 특히 전산학과 수리논리학에서, 유한한 수의 알고리즘을 통해 임의의 유한한 정확도로 구할 수 있는
- 십육원수
- 십육원수(sedenion)는 실수 계수로 펼쳐지는 16차원 대수이다. 십육원수는 보통 으로 표기한다. 두 가지 구성방식이 알려져 있다.케일리-디킨슨 구성 샤를 뮈제의 초수(hypernumber)를 이용한 원뿔 십육원수
- 교차모
- 위상수학에서 교차모(交叉帽, 영어: crosscap 크로스캡[*])은 위상적으로 뫼비우스 띠와 같은 2차원 면이다. 보통은 이를 변형시켜 경계를 원으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삼각형(Sierpiński triangle)은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의 이름이 붙은 프랙탈 도형이다. 시에르핀스키 가스켓(Sierpiński gasket)으로도 불린다
- 오경산술
- 《오경산술》(중국어 간체자: 五经算术, 정체자: 五經算術, 병음: wǔjīngsuànshù 우징쏸수[*])은 북주 견란(甄鸞)이 저술하였다고 전해지는 산학서이다
- 바나흐 고정점 정리
- 수학에서 바나흐 고정점 정리(-固定點定理, 영어: Banach fixed-point theorem) 또는 축약 사상 정리(縮約寫像定理, 영어: contraction mapping theorem)는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축약 사상이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는
- 멱등법칙
- 멱등법칙(冪等法則) 또는 멱등성(冪等性, 영어: idempotent)은 수학이나 전산학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 전미분
- 벡터 미적분학에서 전미분(영어: total derivative)은 다변수 함수의 모든 변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행태를 근사하는 양이다. 즉, 전미분은 다변수 함수의 증분의 주요 선형 부분이다. 변수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