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5N2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H5N2 (A/H5N2)는 인플루엔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닭, 오리, 칠면조, 매, 타조 등의 다양한 조류를 감염시킬 수 있다. 새들은 감염 후에도 별다른 증세를 보이지 않는다. 일부 아형 변종은 다른 변종보다 훨씬 병원성이 높으며, "하이패스(high-path)" H5N2의 집단발병으로 인해 가금류 농장에서 수천 마리의 조류가 도살되기도 한다. 조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 역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지만 유의미한 질환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H5N2 변종에 노출된 사람들도 결막염이나 가벼운 호흡기 질환을 제외하고선 별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람간 전염의 증거는 없다. 2005년 11월 12일에는 H5N2를 가지고 있는 매가 발견되었다. 중국에서는 불활성화된 H5N2 바이러스주가 H5N1에 대한 백신으로 사용되고 있다.
- 감염성 암원
- 감염성 암원은 암을 일으키는 감염성 물질들을 의미한다. 감염으로 인한 암의 발생비율은 16.1%에 달한다. 특히 자궁경부암의 80%, 간암의 15~20%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지역마다 비율에
- 발암균
- 발암균(發癌菌, Cancer bacteria)은 암을 일으키는 종류의 세균을 의미한다. 암 관련 세균은 오래 전부터 기회감염성(암이 이미 나타난 후 건강한 조직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여겨져오긴 했으나, 최근에는
- 발암기생충
-
발암기생충(發癌寄生蟲, Carcinogenic parasite)은 감염성 암원으로서의 기생충을 의미한다. 의학적으로 입증된 발암기생충으로는 흡충류, 빌하르트 주혈흡충(Schistosoma hamatobium), 타이간흡충
- 공기 매개 질병
- 공기 매개 질병(airborne disease)는 공기를 통해 전염될 수 있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다. 의학이나 수의학에서 다루는 많은 질병이 공기 매개 질병으로 분류된다. 바이러스
- H3N2
-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형 아형 H3N2 (A/H3N2)는 인플루엔자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조류와 포유류를 감염시킬 수 있다. 조류, 인간, 돼지에서 다양한 변종의 돌연변이가 존재한다. H3N2가
- 당혹성의 기준
- 당혹성의 기준은 저자가 당혹스러워하고 꺼려했을 내용은 그 저자가 아무 이유없이 그 내용을 창작해내지 않았을 거라는 논증에 의한 비평 분석 방법이다. 일부 성서비평학자들은 신약성경에
- 상기도감염
- 상기도감염(上氣道感染,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URTI)은 기도의 상부, 즉 코, 부비동, 인두, 후두 등에 급성 감염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코막힘, 인후통,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부비동염
- 메르켈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 메르켈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Merkel cell polyomavirus, MCV 또는 MCPyV)는 2008년에 펜실베이니아주의 피츠버그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바이러스다. 디지털 전사체 공제법(Digital transcriptome subtraction
- 람세이헌트증후군 2형
- 람세이헌트증후군 2형(Ramsay Hunt syndrome type 2), 또는 귀대상포진(herpes zoster oticus)은 안면신경다발인 슬신경절이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 람세이헌트라는
- 오딜존 함로베코프
- 오딜존 함로베코프(우즈베크어: Odiljon Hamrobekov, 1996년 2월 13일 ~ )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로, 나브바호르와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있다